배음렬: Difference between revisions

From Xenharmonic Wiki
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
No edit summary
No edit summary
Line 25: Line 25:
|<u>[[3/2 (Korean)|G]]</u>
|<u>[[3/2 (Korean)|G]]</u>
|C
|C
|<u>E<sup>5</sup></u>
|<u>[[5/4 (Korean)|E<sup>5</sup>]]</u>
|G
|G
|<u>B♭<sup>7</sup></u>
|<u>[[7/4 (Korean)|B♭<sup>7</sup>]]</u>
|C
|C
|D
|[[9/8 (Korean)|D]]
|E<sup>5</sup>
|E<sup>5</sup>
|<u>F<sup>11</sup></u>
|<u>[[11/8 (Korean)|F<sup>11</sup>]]</u>
|G
|G
|<u>A♭<sup>13</sup></u>
|<u>[[13/8 (Korean)|A♭<sup>13</sup>]]</u>
|B♭<sup>7</sup>
|B♭<sup>7</sup>
|B<sup>5</sup>
|[[15/8 (Korean)|B<sup>5</sup>]]
|C
|C
|-
|-

Revision as of 06:51, 13 May 2025

배음렬은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음들의 집합으로, 사인파를 제외한 모든 파형에서 나타난다.

배음렬에 있는 음들을 골라서 만든 음률이 순정률이기 때문에 맥놀이가 없고 조화로운 소리가 난다.

1-64배음, 소수 배음에는 밑줄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
C C G C E5 G B♭7 C D E5 F11 G A♭13 B♭7 B5 C
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
D♭17 D E♭19 E5 F7 F11 F♯23 G G♯5,5 A♭13 A B♭7 B♭29 B5 B31 C
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
C11 D♭17 D7 D D37 E♭19 E♭13 E5 E41 F7 F43 F11 F♯5 F♯23 G47 G
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
A♭7,7 G♯5,5 A♭17 A♭13 A53 A A5,11 B♭7 B♭19 B♭29 B59 B5 B61 B31 C7 C

현재 음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12EDO는 2배음과 정확히 맞춰져 있고, 3배음과 5배음과도 근접하기 때문에 소인수가 2, 3, 5인 배음은 오차가 크지 않지만 7배음과 11배음, 13배음은 오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7-limit, 11-limit, 13-limit 순정률은 12EDO로 재현하기 매우 힘들다.


배음렬을 이용한 음률도 존재하는데, 2n배음과 2n+1배음 사이의 모든 배음을 골라내면 옥타브를 산술적으로 2n등분하는 것이라 이를 옥타브의 산술적 주파수 등분(AFDO, Arithmetic Frequency Division of the Octave)라고 하며 2nAFDO로 표기한다.

가령 8AFDO는 8배음~16배음을 이용한(8:9:10:11:12:13:14:15:16) 음률이다.